비트코인, 이더리움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는 네트워크 상의 어떤 노드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분산화된 구조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합니다. 그런데 일부 암호화폐는 스스로를 암호화폐로 부르고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멀쩡히 거래도 이루어지지만 실상은 알고 보면 하나의 기관이 모든 노드를 운영하는 중앙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NEO도 그런 암호화폐 중에 하나인데, 전체 네트워크에 단 7대의 validation 노드만이 존재하고 그나마도 모두 NEO 팀에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NEO는 암호화폐가 아니라 규제 없는 사설 은행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물론 테스트 단계에서 안정성을 위해 전체 노드를 팀에서 운영하고 차츰 분산화시켜 나갈 수도 있기 때문에 현 단계를 과도기로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NEO의 합의 알고리즘은 dBFT의 특성을 살펴보면 분산화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dBFT는 전세계의 노드 숫자가 고정되고 각 노드는 다른 노드의 위치를 미리 알고 있어야만 동작합니다. 하나의 노드라도 문제가 생기면 합의에 도달할 수 없게 되고 전체 블록체인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실제로 NEO의 소스 코드를 보면 7개의 validation 노드의 주소가 하드코딩되어 있습니다.
40억 달러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NEO가 실제로는 암호화폐가 아니고 NEO팀이 운영하는 7대의 노드 중 한 대라도 다운되면 동작이 멈추는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관련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http://storeofvalueblog.com/posts/how-centralized-is-neo/